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흔하지않은취미
- 경영평가
- 방해석
- 그리운제주도
- 이런생각
- 기업의사회적책임
- RStudio
- 국제표준기구
- 수칙
- 사회적거리두기
- 코로나19
- 코로나19종식기원
- ESG
- 오늘부터차근차근아이패드드로잉
- csr
- 3컷만화
- 책이름길다
- 지질학
- 환경사회지배구조
- 보석
- 헌혈의중요성
- 초딩생각
- 여행가고싶다
- 헌혈의집
- 그림잘그려보고싶다
- 사회적거리두기4단계
- 탄산칼슘
- 캐릭터그림
- ISO26000
- rvest
Archives
- Today
- Total
하루다이제스트
석영(Quartz)에 대해 알아보자 본문
내가 좋아하는 광물 중 하나는 바로 석영(수정) 이에요
이건 제가 가지고 있는 투명 수정이랍니다... 기억은 잘 안나지만, 그렇게 어렵지 않게 주변에서 구할 수 있었어요.
석영은 수정이라고도 불리는데 종류가 많아요.
종류에는
- 투명 수정
2. 황 수정
3. 연 수정
4. 흑 수정
5. 장미 수정
6. 자수정
주요 산지: 미국/브라질/칠레/페루
흔히 수정이라고도 불리는 보석 광물
화강암을 이루는 광물 중 하나 이며 석영은 다른 광물에 비해 꽤 순수 해요.
규소와 산소의 2가지 원소로 이루어져 있어요.
주로 육각기둥 모양의 결정을 이루지만, 알갤이 모양의 결정으로 산출 되기도 한다네요
- 출처: 한솔교육사 한눈에 보는 암석광물화석
석영(石英, Quartz)은 대륙지각에 풍부한 광물이다. 수정이라고도 부르며, 육방정계의 결정형을 가지고 망상형 이산화규소(SiO2)로 이루어져 있다. 모스 경도 7이며 비중은 2.65이다. 결정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육각기둥 모양인데, 그 끝은 육각뿔 모양이다. 하지만 쌍정이나 변형된 모습으로도 흔히 나타나며 결정의 일부만 관찰되는 경우도 많다. 자수정과 같이 주변물질로부터 자라난 것처럼 성장하여 한쪽 끝으로만 뿔 모양이 보이는 경우가 흔하다. 줄여서 Qz로 쓴다. 조흔색은 흰색이다(이론상 조흔색은 조흔판의 굳기 이상이면 확인할 수가 없다. 조흔판의 굳기는 6.5도이다. 이럴 경우, 망치로 광물을 부숴서 가루로 만들었을 때의 색이 굳기 7 이상의 광물의 조흔색이다).
출처: 위키피디아
사실 나는 이 보석을 좋아하면서도 소장 중에 있지만
가끔씩 보석 멍을 때릴때도 많이 있다 그중에서도 아래 것들을 좋아한다
황수정 이라고 하는 것인데 가까이서 보면 투명함을 느끼면서도 색이 은은하며 빠져들곤 한다




주변에서 쉽게 볼수 있지만 이것들로 만족 하지 않는다
내가 가지고 있는 보석은 많이 있으니
하나씩 이제 설명해 보고자 한다
'지질 광석 모으기(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해석(Calcite)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7.21 |
---|